켄넬코프가 뭐예요?
켄넬코프(이명:개 전염성 기관 기관지염)는 전염성이 매우 높은 호흡기 질병입니다. 개들이 많이 몰려있는 장소(애견호텔이나 강아지 유치원, 애견파크, 애견카페 같은)에 갈 때 흔히 걸릴 수 있는 감염병입니다. 공기 중에 떠있는 비말로 인해 감염되거나, 직접적인 접촉 (개들끼리 코가 닿거나)으로 감염되거나, 이미 켄넬코프에 감염된 개가 먹거나 마신 사료그릇 혹은 물그릇을 통해 사료나 물을 먹었다면 감염될 수 있습니다. 현대 수의학으로 치료가 매우 쉬운 병이지만 6개월령이 지나지 않은 강아지나 면역력이 저하된 개에게는 치료가 조금 어려울 수 있습니다.
켄넬코프의 증상은?
밑의 증상 중 한두 개 이상이 해당된다면 켄넬코프를 의심해보셔야 합니다.
- 강도가 센 기침(흉통이 울리는듯한 소리)
- 콧물 흐름
- 재채기
- 졸음증, 무기력
- 식욕부진
- 미열
- 눈물이 많아짐
건강한 개들이 켄넬코프에 감염됐다면 치료는 쉬운 편입니다. 반려견이 흉통이 울리는듯한 큰 소리를 내며 강도 높게 기침을 한다면 동물병원에 내원해 주치의 수의사 선생님께 진찰을 받도록 합시다. 홍역이나 개 인플루엔자 또한 강도가 센 기침이 주 증상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개 기관 허탈(collapsing trachea), 기관지염, 천식, 심장병도 강아지로 하여금 심하게 기침을 하게 만드는 병들입니다.
켄넬코프 치료 방법
동물병원에 내원한다면 일반적으로 수의사 선생님께서 항생제나 기침을 멎게 하는 내복약을 처방해주십니다. 수의사 선생님의 처방대로 약을 잘 먹이고, 반려견이 집에서 충분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따뜻하고 조용한 환경을 조성해주세요.
다견가정일경우, 켄넬코프에 감염된 반려견과 다른 개들을 분리시켜주세요. (증상이 완전히 사라진 이후 2주 동안 격리를 시켜야 합니다) 한 마리가 진단을 받았다면 집안에 있는 모든 개들도 켄넬코프 감염이 되었을 수 있습니다.
당연한 거지만 반려견이 켄넬코프에 감염되었다면 사람이 먹는 감기약은 절대 주시면 안됩니다.
집에서 할 수 있는 증상 완화법
- 산책 시 목줄 대신 하네스를 사용하시는 걸 권해드립니다. 목줄이 개의 기도를 자극할 수 있고 이 때문에 기침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 가습기를 틀어서 개의 호흡기가 수분을 유지할 수 있게 해 주세요.
- 따뜻한 물수건으로 반려견의 눈물, 콧물을 닦아주세요
- 집안 환경을 청결히 유지해주세요. (청소 자주 해주고 공기청정기 가동하기)
- 반려견이 조용하고 따뜻한 곳에서 쉴 수 있게 해 주세요.
- 다견가정이라면 켄넬코프에 감염된 반려견을 다른 강아지들에게서 분리시켜 주세요.
켄넬코프의 원인
- 보르데텔라 브론키셉티카(Bordetella bronchiseptica):켄넬코프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개의 상부 기도에 염증을 일으킵니다.
- 개 파라인플루엔자(Canine parainfluenza):약어는 CPIV이며, CPIV 또한 켄넬코프의 주원인 중 하나입니다. 개 인플루엔자와 증상이 비슷하지만 바이러스 종류와 예방 백신도 다릅니다.
- 개 아데노바이러스 2형:CAV-2로 알려져 있으며, 켄넬코프를 일으키는 호흡기 질환입니다. 켄넬코프에 감염된 개가 기침을 함으로써 다른 개에게 전파됩니다.
켄넬코프 예방할 수 있나요?
백신 접종으로 막을 수 있습니다.
어질리티를 하거나 강아지 유치원에 다니거나, 애견카페에 자주 가는 강아지들은 백신 접종은 무조건 해주세요. 우리 강아지뿐만 아닌 다른 강아지들을 위해서요. (보통의 정상적인 강아지 유치원들이나 애견호텔들은 켄넬코프 접종기록을 요구합니다만)
결론
- 가장 좋은 켄넬코프 예방법은 백신 접종입니다. 반려견을 개들이 많이 모이는 강아지 유치원 같은 장소에 보내기 전이라면 주치의 수의사 선생님과 켄넬코프 백신접종 상담을 합시다. 백신의 효능은 12개월 동안 지속됩니다.
- 켄넬코프는 감염성이 매우 높은만큼, 치료하기도 상당히 쉽습니다.
- 홍역이나 개 인플루엔자도 주요 증상이 심한 기침이므로 강아지가 기침을 한다면 동물병원에 내원해 수의사의 정확한 진단을 받읍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켄넬코프에 대해 알려드렸는데요, 모든 질병의 최고의 치료는 예방이다라는 생각이 드네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번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건강정보 > 반려견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견 있는 집 청소하는법 (0) | 2022.12.21 |
---|---|
반려견이 이런 증상을 보인다면 바로 동물병원에 데려가세요 (0) | 2022.12.21 |
강아지가 발을 계속 핥는 이유 (0) | 2022.12.20 |
반려견과 놀아주는것의 중요성과 팁 (0) | 2022.12.20 |
반려견 산책 팁과 산책의 중요성 (0) | 2022.12.18 |